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치매 유형과 그 차이

쿠배자 2025. 4. 29. 22:35
반응형

치매에도 여러 종류가 있다는 걸 아시나요?
– 치매의 유형과 그 차이를 알면 예방과 대처가 쉬워집니다

나이가 들수록 걱정되는 질병 중 하나가 치매입니다.
“나도 혹시 치매가 오는 건 아닐까?”, “어머니가 요즘 자꾸 잊어버리시는데 괜찮은 걸까?” 하고 고민하는 분들 많으시죠.

하지만 많은 분들이 치매는 모두 같은 병이라고 생각하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는 치매에도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며, 원인과 증상, 진행 속도도 다릅니다.
오늘은 대표적인 치매 유형과 그 차이에 대해 쉽고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1. 알츠하이머형 치매 – 가장 흔한 치매

전체 치매 환자의 60~70%를 차지합니다.
‘알츠하이머’는 특정한 뇌 세포가 서서히 파괴되면서 기억력, 판단력, 말하기 능력 등이 떨어지는 병입니다.

주요 특징

초기엔 기억력 저하가 가장 두드러집니다. (예: 오늘 아침에 뭐 먹었는지 기억 못함)
점점 말이 어눌해지고, 길 찾기를 어려워하고, 낯선 사람처럼 행동합니다.
초기에는 감정 기복이 심해지거나 우울해지는 경우도 많습니다.
진행은 서서히 일어나며, 수년에 걸쳐 점차 일상생활이 어려워집니다.

2. 혈관성 치매 – 뇌졸중 이후 생기는 치매

알츠하이머 다음으로 흔한 치매입니다.
뇌졸중(중풍)이나 작은 뇌혈관이 막히거나 터지면서 뇌의 일부 기능이 손상되어 나타납니다.

주요 특징

기억력보다는 계산 능력, 판단력, 집중력 저하가 먼저 나타납니다.
말이 어눌해지거나, 성격이 급격히 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뇌졸중 증상(마비, 언어장애 등)이 먼저 오고, 그 뒤에 치매 증상이 따라오는 경우가 흔합니다.
진행은 계단식으로, 갑자기 악화되기도 하고, 한동안 그대로 있기도 합니다.

3. 루이소체 치매 – 환각과 착각이 특징

조금 생소한 이름일 수 있지만, 점점 증가하고 있는 치매 유형입니다.
루이소체라는 비정상적인 단백질이 뇌에 쌓이면서 발생합니다.

주요 특징

시각적 환각(없는 사람이나 물건을 보는 현상)이 자주 나타납니다.
증상이 하루에도 몇 번씩 심해졌다가 나아졌다가 반복됩니다.
파킨슨병처럼 손 떨림, 걷기 불편 등 운동 증상이 같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이 치매는 낯선 행동, 환각, 몸의 이상 반응이 같이 오기 때문에 가족들이 혼란스러워할 수 있습니다.

4. 전두측두엽 치매 – 성격 변화가 두드러짐

이 유형은 기억력보다는 성격이나 행동 변화가 먼저 나타납니다.
전두엽, 측두엽이 먼저 손상되기 때문입니다.

주요 특징

무례하거나 충동적인 행동을 보이는 등 성격이 갑자기 변합니다.
이해력이 떨어지고, 남의 감정을 공감하지 못하기도 합니다.
같은 말을 반복하거나, 일상생활 규칙을 지키지 않으려 합니다.
이 치매는 아직 60대 이하의 젊은 연령층에서도 나타날 수 있는 치매로 알려져 있습니다.

5. 혼합형 치매 – 둘 이상의 치매가 같이 나타나는 경우

나이가 많아질수록 알츠하이머형과 혈관성 치매가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를 혼합형 치매라고 부릅니다.

주요 특징

기억력 저하와 판단력 저하가 동시에 나타나며
증상이 복합적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진단과 치료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럼, 치매를 어떻게 예방할 수 있을까요?
치매는 완전히 막을 수는 없어도, 늦추거나 위험을 낮출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 혈압, 당뇨, 고지혈증 잘 관리하기
 - 꾸준한 걷기 운동이나 스트레칭
 - 금연, 절주
 - 두뇌 활동 자주 하기 – 독서, 퍼즐 맞추기, 일기 쓰기 등
 - 사람들과 자주 소통하기 – 외로움은 치매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건, “치매도 치료가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초기라면 약물 치료나 생활습관 개선으로 진행 속도를 늦출 수 있습니다.

마무리하며…
치매는 단순히 ‘기억을 잊어버리는 병’이 아닙니다.
원인과 증상에 따라 다르게 접근해야 하고,
무엇보다 가족과 주변 사람들의 이해와 관심이 필요합니다.

혹시라도 가족 중에 치매 의심 증상이 보인다면,
너무 걱정만 하지 마시고 가까운 병원을 방문해 조기 진단을 받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

함께 알아가고, 함께 준비한다면
치매도 두렵기만 한 병은 아닙니다.

반응형